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금감원 조직개편②] 부서간 벽 허물고 ‘직조체제’ 완성, 수석부원장 역할 ‘주목’
권역유지하되 기능 교차
은행담당이 건전성 감독
투자담당이 영업등 살펴
보직 및 간부수 줄어들듯

[헤럴드경제=이슬기 기자] 14일 발표된 금융감독원의 조직개편안은 ‘파격성’보다 ‘효율성’을 추구한 것으로 분석된다. 은행·중소서민금융·금융투자·보험으로 나뉜 권역별 조직은 기존과 같이 유지하되, 부원장급 임원을 통한 기능별 통합지휘·업무융합 시스템이 새로 도입됐다. 이른바 ‘매트릭스형(形)’ 조직이다. 조직 전체를 총괄하는 유광열 수석부원장의 역할이 더욱 중요해졌다는 이야기도 나온다.

금감원이 이번 조직개편을 통해 내세운 핵심 의제는 금융소비자 보호역량 강화다. “기존 권역별 조직체계에서는 부서 간 칸막이가 높고, 금융소비자 보호업무의 중요성이 건전성 감독·검사업무에 비해 희석돼 한계가 있었다”는 게 금감원의 자체적인 평가다.


이에 따라 금감원은 부원장보 이하 실무부서 차원에서는 은행·중소서민금융·금융투자·보험의 권역별 체제를 그대로 두되, 은행·중소서민금융 담당 부원장이 전 업권의 건전성 감독·검사 업무를, 시장 담당 부원장이 전 업권의 영업행위 감독·검사 업무를 통할하도록 했다. 직물의 씨줄과 날줄처럼 두 명의 부원장과 네 명의 부원장보가 실무부서의 업무를 ‘크로스 체크’ 하게 되는 셈이다.

예를 들면, 금융투자 업계만의 특색이 강한 영업행위 관련 업무는 담당 부원장보의 수평지휘 아래 해당 부서가 세밀히 들여다보고, 초대형 투자은행(IB)처럼 보다 포괄적인 건전성 감독·검사 필요성 제기되는 부분에 대해서는 건전성 전문 부원장 수직지휘 아래 은행-금투 부서가 협업해 ‘융합안’을 만들어내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렇게 하면 핀테크(FinTech) 등 다수 업권에 걸친 금융이슈 대응 시 감독 사각지대를 없앨 수 있을 것”이라는 게 금감원 관계자의 설명이다.

영업행위 감독업무의 중량감이 높아지는 만큼 ‘사전적 금융소비자 보호기능’이 자연스레 강화될 것으로도 기대된다.

그러나 이 과정에서 조직의 손과 발에 해당하는 일선 부서의 업무과중이나 건전성 부문 대 영업행위 부문의 신(新) 불통이 생길 가능성도 있다. ‘숲’(조직 전체)을 관망하는 수석부원장의 권한과 역할 확대가 필요해지는 지점이다.

이를 위해 금감원은 수석부원장 산하 ‘업무총괄’ 부문을 ‘전략감독’ 부문으로 개칭하고, 금감원 업무전반에 대한 총괄·조율 기능을 강화했다. 금융그룹감독실, 자금세탁방지실, 연금금융실 등 모든 권역과 관계를 맺고 있는 기능별 부서도 전략감독 부문 아래에 집결시켰다.

금감원은 조직개편의 큰 그림이 나온 만큼 향후 부서·팀 단위 조직의 통·폐합과 비효율 부서 정리 작업에도 속도를 낸다는 방침이다. 금융혁신국과 금융상황분석실처럼 다른 부서와 기능이 중복되는 조직을 폐지하고, 점진적으로 대(大)팀제 전환을 꾀한다.

하지만 금감원의 팀장급 간부 비율이 현재 45%에 이르는 것을 고려하면, 조직 축소 과정에서 일부 잡음이 나올 가능성도 있다. 금감원은 금주말 간부워크샵 등을 거쳐 이달 말까지 세부 조직개편안을 확정, 부서장 인사와 함께 단행할 예정이다.

yesyep@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