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홍길용의 화식열전]전세계 휩쓴 비트코인…거품경제 역사의 한 페이지 되나
도박 vs 혁신…비트코인 논란
경제발전단계 변곡점 역할
가상화폐 광풍 지나치지만
디지털경제 핵심화두 가능성


비트코인(bitcoin) 논란이 뜨겁다. ‘도박’이라는 주장과 ‘혁신’이라는 반론이 꽤 팽팽하다. ‘검은 자금’과 ‘일확천금’의 탐욕이 출렁이는 것도 사실이지만, 그렇다고 디지털시대에 가상화폐를 무조건 금지할 수도 없는 노릇이다. 두 주장을 종합하면 거품(bubble)이다. 늘 유동성이 팽창해 돈의 값이 싼(저금리) 상황의 말미에 특정자산에 대한 과도한 기대감이 자산가격을 비정상적으로 상승시켜왔다. 거품은 결국 터지기 마련이지만, 헛된 것만은 아니다. 교훈이든, 희망이든 뭐든 남긴다.

17세기 튤립파동 당시 네덜란드는 16세기 말부터 시작된 해외진출로 ‘황금시대’를 누리고 있었다. 엄청난 부(유동성)가 샤를 드 레클루제의 식물학 기술을 만났다. 튤립 버블을 더 확신시킨 것이 선물 거래다. 개화까지 시간이 걸리다 보니 현물 없이 미래 일정시점의 양수도 계약서 만으로 거래가 이뤄졌다. 근대 선물(future) 거래의 시작인 셈이다..

18세기 영국의 남해회사(southsea caompay) 사태나 프랑스의 미시시피계획도 같은 구조다. 식민지에서 엄청난 부가 유입됐지만 정부는 엄청난 식민지 개척비용에 시달린다. 여기서 재정혁신이 시도된다. 정부 부채를 민간회사에 넘기며 독점 사업권을 부여하는 방식이다. 일종의 자산 맞교환(swap)이다. 정부는 부채부담을 줄이고, 회사 투자자들은 독점적 이익을 누리는 구조다. 독점의 폐해와 무리한 차입으로 버블은 붕괴되지만 그 결과 중앙은행의 역할이 중요해지게 된다.


19세기를 뒤 흔든 영국의 철도버블 역시 마찬가지다. 당시 ‘혁신’이던 철도의 등장은 엄청난 부를 창출했고, 이 부가 다시 철도와 철도 관련주에 과잉 투자되면서 거품이 발생한다. 철도버블은 영국 뿐 아니라 유럽대륙과 미국으로도 확산된다. 20세기 초 포드의 컨베이어밸트 시스템은 제조업에 일대 혁명을 가져왔다.

하지만 이면에는 과잉생산과 실업급증이라는 그림자가 드리운다. 이 같은 문제점들을 간과한 채 증시로 유동성이 몰리면서 1929년 경제 대공황이 발발한다. 대공황은 수정자본주의를 낳는다.

1991년 일본의 자산버블 붕괴도 혁명적 사건과 과잉 유동성이 만난 결과다. 한국전쟁 특수와 오일쇼프로 인한 미국의 경제난으로 일본은 무려 30년의 장기 호황을 누린다. 하지만 1985년 플라자 합의, 1989년 공산권 붕괴 등이 겹쳤다. 갈곳을 찾지 못한 일본 국내 유동성과, 안전한 곳을 찾아 헤메던 해외의 자금이 모두 일본 자산시장으로 집중됐다. 20세기 말 나타난 ‘닷컴 버블’ 역시 ‘글로벌라이제이션’으로 축적된 자본과 인터넷 기술이 만난 버블경제 현상이었다. 이 두 버블 현상 역시 금융시장에 큰 교훈을 남겼다.

21세기에도 버블 경제는 계속되고 있다. 2007년 시작된 ‘서브프라임모기지’ 사태는 ‘세계의 공장’으로 거듭난 중국경제에서 비롯된 막대한 유동성과 최첨단 금융파생상품이 만난 결과다. 가장 최근에는 모바일 혁명과 사상 초유의 저금리가 만난 FANG(페이스북, 아마존, 네플릭스, 구글), BAT(바이두, 알리바바, 텐센트) 주가 거품 논란이 한창이다. 디지털 독점의 폐해에 대한 고민이 치열해지고 있다.

아무리 거센 광풍도 결국엔 지나나기 마련이다. 가장 거셀 때가 끝의 시작이다. 광풍이 지나간 자리에 뭐가 남을 지를 생각해보자.

kyhong@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