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프리즘]보건의료 빅데이터 활용의 明과 暗
최근 의료계의 기자간담회나 학회의 심포지엄, 포럼 등의 핫이슈는 단연 인공지능(AI), 정밀의학, 빅데이터 등 4차산업혁명 시대를 대비하는 주제들이다. 대형 대학병원들은 향후 병원 생존의 사활을 인공지능이나 정밀의학 등에 두고 저마다 청사진을 그리며 준비가 한창이다. 지방의 중소병원들도 사정은 마찬가지다. 서울의 대형병원으로 환자가 몰리는 현실에서 지방의 중소대학병원들은 이미 인공지능의사인 ‘왓슨’을 도입해 해법을 찾고 있다.

정밀의학은 최근 도입되기 시작한 개념으로 개인의 유전정보, 진료정보, 생체정보 등을 빅데이터화해 분석해서 개개인에게 맞춤형 진료를 제공한다는 시도로, 우리나라가 이를 선점해 4차 산업혁명의 표본이 되자고 하는 것은 바람직한 일이다. 이에 부응해 정부는 지난 9월 4차 산업혁명의 신성장동력 확보를 위해 ‘정밀의료 사업단’을 발족시켜 향후 5년간 약631억원을 투입키로 했다.

이러한 인공지능과 정밀의학 성공의 기본전제는 바로 엄청난 양의 개인 건강정보를 통합ㆍ분석하는 과정을 통해 획기적인 해법이 제공된다는 ‘보건의료 빅데이터의 적절한 활용’에 있다. 미래 보건의료의 핵심기술로 부각되고 있는 보건의료 빅데이터는 국민건강보험공단, 건강보험심사평가원, 질병관리본부, 국립암센터와 개별의료기관 등이 보유하고 있는 총체적인 정보를 말한다.

정부는 지난 3월 보건의료 빅데이터 추진단을 발족하고, 주요 공공기관과 유관기관 전문가들과 함께 공공보건의료 빅데이터 관련 국가 차원의 로드맵을 마련하겠다고 밝힌 바 있다. 기관별로 흩어져있는 정보를 통합ㆍ연계해 활용도를 높이겠다는 것이다.

하지만 이러한 빅데이터의 활용에 최근 제동이 걸렸다. 개인의 유전자정보, 생체정보, 진료정보 등을 모으는 과정에서의 나타나는 개인정보유출 문제 때문이다.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이 보유하고 있는 보건의료 빅데이터는 약 2조8879억 건에 192테라바이트(TB) 규모에 달하며 여기에는 전국민의 건강보험 진료정보도 포함돼 있다.

심평원이 최근 3년간 건강보험 진료데이터 6000만명분을 민간보험사에 제공한 것으로 드러나 충격을 주고 있다. 지난 2014년 7월부터 2017년 8월까지 심평원은 KB생명보험 등 8개 민간보험사 및 2개 민간보험연구기관에서 위험률 개발과 보험상품연구 및 개발 등을 위해 요청한 ‘표본 데이터셋’을 1건당 30만원의 수수료를 받고 총 52건을 제공했다.

논란이 증폭되자 감독기관인 보건복지부는 “심평원의 빅데이터 제공을 일단 중단시키겠다”고 했다. 시민단체들은 “자신의 질병정보가 공익적 목적이 아니라 민간기업에 제공되고, 상업적 목적으로 사용되는 것을 우려하고 있다”며 “환자들도 보건의료 빅데이터를 통해 좋은 치료방법이 나오고 의료비 절약 방법이 나온다면 긍정적이지만 환자의 개인정보보호에 대한 부분이 강화된 다음에 논의가 됐으면 한다”고 했다. 상식적이고 일리있는 주장이다.

보건당국은 보다 엄격하고 확실한 보호조치가 선행될 때 국민이 정부를 믿고 선뜻 본인의 개인건강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는 사실을 명심했으면 한다. kty@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