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쉼표]우암 송시열과 인성교육
우암 송시열은 국사 교과서에 조선 후기 대유학자로 효종때 북벌운동에서 잠깐 언급된다. 17세기를 산 우암을 조금 더 파고들면 조선 당쟁의 지형도가 그려져 조선 후기 사회를 훨씬 더 입체적으로 이해할 수 있다.

우암은 이이의 학풍을 계승하고 영남학파 이황을 배격한 기호학파의 주류 주자학자다. 우리나라 학자중 ‘자’(宋子)자가 붙는 유일한 인물이며 조선왕조실록에 3천번이나 나온다. 그런데도 우암은 기호학파가 영남학파에 비해 조명이 덜 된 탓인지 연구가 활발하지 못했다. 

그의 문집인 송자대전도 완역이 제대로 돼있지 않다. 우암은 부정과 긍정 양 극단적 평가가 존재한다. 조선을 이상적인 사회로 만들려는 개혁가이자 사색당쟁의 주역이다. 정통 주자학을 신봉한 원칙론자여서 고집도 많아 주변 사람들과 잘 싸웠다. 하지만 그는 한마디로 정리할 사람이 아니다.


영화 ‘남한산성’에서 척화론을 주장한 청음 김상헌이 우암의 스승이다. 김상헌은 병자호란후 심양에 있다 돌아왔지만 인조가 노(老)정치가를 부담스러워 하자 한양으로 오지 않고 양주의 석실에 머물렀다. 우암은 무작성 양주로 찾아가 결국 김상헌을 스승으로 삼았다. 뛰어난 멘토를 찾아낸 것이다.

우암은 노론의 영수다. 서인이 노론과 소론으로 나눠지게 된 것도 우암의 제자와의 갈등이 배경이다. 그러니 영조가 아들인 사도세자를 죽인 게 개인이 아닌 시스템으로 본다면 우암을 공부해야 그 구조를 파악할 수 있다.

우암은 단종복위를 꾀한 사육신중 한명인 박팽년 유허비의 비문을 지어 그의 명예회복을 도운 사람이다. 당시 이 의견을 잘못 내세우다가는 반역자가 될 수도 있지만, 우암은 자신의 제자였던 효종에게 박팽년 신원(伸)의 운을 띄웠다가 현종때 관철시켰다.

장희빈 아들의 세자책봉을 반대하는 상소를 올리고 83세에 사약을 받고 세상을 떠났다. 지난달 28일 우암 탄생 410주년을 맞아 그가 후학을 길러냈던 대전 우암사적공원내 남간정사에서 우암인성교육포럼이 열렸다. 우암의 사상과 식견을 되새겨보면서 오늘의 지혜를 뽑아내는 뜻깊은 자리였다.

서병기 선임기자/wp@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