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사설]脫중국 다변화 노력은 계속되어야 한다
사드 갈등을 극복하고 한중 관계가 복원 모드로 바뀌면서 경제 훈풍에 대한 기대도 높아지고 있다. 실제로 31일 ‘한중 관계 개선 관련 양국 간 협의 결과’가 발표되자 마자 막혔던 한중 교역은 관광업계를 필두로 빠르게 회복되는 모습이다.

중국 춘추항공은 지난 7월 중단된 닝보~제주 노선 운항을 곧바로 재개했고 길상항공도 상하이~제주 노선을 12월부터 운항하겠다고 발표했다. 중국 대표 여행사 씨트립은 국내 호텔들과 숙박권 판매 업무를 협의했다. 지방 여행사들도 한국 단체관광 모집 광고를 내기 시작했다. 내년 1월 ‘코리아 그랜드 세일’과 2월 ‘평창 동계올림픽’은 중요한 분수령이 될 것이고 예년의 절반도 안되던 중국 관광객도 회복될 게 분명하다.

하지만 잊지 말아야 할 것이 있다. ‘제2, 제3의 사드보복’은 언제든 발생할 수 있다는 점이다. 어차피 중국은 정치 상황에 따라 보복을 서슴지않는 나라다. 탈중국 다변화 노력을 멈추지 말아야 하는 이유다. 좋은 전례도 있다. 수년전 센카쿠 열도 사태로 무역보복을 당한 일본은 중국 의존도를 낮추고 교역국을 다변화하는 탈중국 정책으로 통상마찰을 극복했다. 그 결과 일본 최대 수출국은 중국에서 미국으로 바뀌었다.

우리도 일본을 반면교사로 삼아야 한다. 사드 보복은 중국 특수의 달콤함에서 벗어나 세계를 향한 경쟁력을 확보하는 계기가 되기에 충분하다. 기업들은 신시장 개척에 지혜를 모으고 중국 의존도를 낮추기 위한 노력을 계속해야 한다. 해외 생산거점을 베트남ㆍ인도 등으로 옮기고 CISㆍ동유럽 등 이머징 시장으로의 수출선 다변화도 가속화해야 한다.

그간의 성과도 적지 않다. 중국에서 철수키로 한 이마트는 몽골과 동남아시아 등 새로운 시장에 성장동력을 집중하고 있다. LG화학과 삼성SDI 등 전기차 배터리 업체들은 중국의 보조금 폐지 조치에 대응해 동유럽으로 눈길을 돌렸다.

기업들이 탈중국 노력을 더 가열차게 진행해야 하는 이유는 또 있다. 오히려 더 중요한 이유다. 은밀하고 치밀한 중국의 자산흡수 정책에 대비해야 한다는 점이다. 중국은 필요할 때 손을 벌리지만 얻고나면 밀어낸다. 기술과 자본이 부족했던 과거 중국은 자국내 산업 성장을 목적으로 해외 투자를 환영했다. 경쟁력과 자신감을 가진 오늘날엔 스스로 자기 사업을 하겠다는 의지가 명백하다. 그건 외국 기업 밀어내기로 나타난다.

중국이 지금 필요로 하는 것은 초기술의 첨단산업이다. 우리가 줄 것은 없다. 세계 인구의 20%를 가진 중국 시장을 버릴 수 는 없지만 밀어내기 전에 나갈 준비는 해야 한다.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