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리콜’ 아닌 ‘자발적 서비스’ 강조하는 벤츠, 그 이유는?
- 벤츠 “디젤 차량 개선, 고객 만족 및 배출가스 저감 위한 자발적 조치”
- “소프트웨어 정비는 리콜의 영역…부정적 어감에 사용 꺼리는 것”


[헤럴드경제=박혜림 기자] 메르세데스-벤츠코리아가 최근 배출가스 저감장치 조작 의심을 받고 있는 자사 디젤 차량에 대해 개선조치를 시행하겠다고 밝혔다. 그러나 이번 조치가 리콜이 아닌 자발적 서비스라고 거듭 강조하고 있어 그 이유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22일 벤츠코리아 관계자는 최근 유럽에 이어 한국까지 확대된 디젤 차량 개선 조치가 “규제 기관의 명령에 따라 결함을 수리하기 위한 리콜이 아닌, 고객 만족과 배출가스 저감을 위한 자발적 서비스 조치”라고 말했다.

이어 이 관계자는 “현재 디젤 엔진과 관련한 논란이 특히 고객들에게 불확실성을 주고 있어, 디젤 차량을 보유하고 있는 고객들이 안심하고 차량을 이용할 수 있도록 확신을 강화하기 위한 결정”이라고 강조했다.

앞서 환경부는 다임러사가 배출가스 조작 장치를 OM642, OM651 엔진 탑재 차종에 설치한 것으로 보고 독일 검찰이 수사에 나섰다는 현지 언론의 보도에 따라 지난 13일 이들 차종에 대한 조사에 들어갔다. 엔진에 조작 장치가 달려있는지 여부가 이번 사건의 핵심이다. 다임러사는 검찰 수사 이후 일차적으로 유럽 내 디젤 차량 300만 대의 엔진 소프트웨어를 무료로 정비해주기로 결정했고, 최근에야 국내까지 서비스 조치를 확대키로 했다. 

그러나 일각에선 벤츠코리아의 이번 조치가 리콜과 다를 바 없다고 보고 있다.

리콜의 사전적 의미는 ‘회사측이 제품의 결함을 발견해 보상해 주는 소비자보호제도’다. 업계 관계자 등에 따르면 자발적 서비스(캠페인)는 리콜 보다 폭 넓은 의미로 사용된다. 다만 자발적 캠페인이 제품에 결함이 생길 경우 고객들에게 문제를 통보 하고 수리해주는 반면, 리콜은 과거에 해당 결함으로 인해 수리를 했을 때 그 부분에 대한 수리비 및 교통비 등을 보상해준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이호근 대덕대 자동차학과 교수는 “디젤 엔진 소프트웨어 문제의 경우 고객이 사설에서 튜닝을 하거나 수리를 할 수 있는 문제가 아니기 때문에 벤츠의 이번 ‘자발적 서비스’는 근본적으로 리콜과 차이가 없다”면서 “리콜이란 단어가 주는 어감이 다소 부정적이니 사용을 꺼리는 것 아니겠느냐”고 지적했다.

이 교수는 그러면서 “유럽에서는 자발적 서비스를 바로 진행한 반면 국내에선 늑장을 부리다 뒤늦게 결정을 내린 이유도 살펴봐야 한다”고 말했다. 그는 “해외와 달리 늑장대응에도 징벌적 벌과금제도가 없는 우리나라에선 최대한 대응을 미루는 게 경제적 손실도 줄이고 이미지도 보전할 수 있는 방안이라는 인식이 깔려있다”면서 “더욱이 국내 소비자들도 도덕적 문제가 있는 제품 구매에 관대하니 더더욱 대응을 늦추는 게 아니냐”고 반문했다.

이에 대해 벤츠코리아 관계자는 “리콜이라는 용어를 사용치 않는 것은 저희가 하는 조치가 서비스 조치이기 때문”이라고 해명했다.
rim@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