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사설] ‘착한 투자’ 열풍 ‘착한 기업’으로 열매 맺어야 의미
국내 자본시장에 이른바 착한투자라고 불리는 ‘사회책임투자(SRI)’ 바람이 불고 있다. 투자를 결정할 때 기업의 재무적 지표뿐 아니라 환경(E)ㆍ사회(S)ㆍ지배구조(G) 등 비재무적 성과까지 고려하는 것을 일컫는다. 지난 2001년 소개된 이후 관심과 외면을 되풀이하다 20년 다 되어가는 시점에 또 다시 떠오르는 이유는 간단하다. 문재인 대통령이 기금자산을 운용할 때는 투자 기업의 환경ㆍ사회ㆍ지배구조(ESG)를 고려해야 한다는 규정을 명문화하겠다고 대선 공약으로 밝혔기 때문이다. 당시 여야, 진보와 보수를 막론하고 공감대를 형성한 이슈여서 사회책임투자를 전면 시행하기 위한 국가재정법 개정도 어렵지 않을 전망이다.

이미 불은 붙었다. 기관투자자들의 적극적 의사 결정 참여에 대한 일종의 가이드라인 스튜어드십 코드를 도입한 첫번째 펀드가 최근 출현했고 국민연금도 이 제도 도입을 위한 용역을 발주했다. 참여 예정 기관으로 등록해 참여 시기만 저울질하는 투자기관도 23개사나 된다. 지난해말 도입 이후 5개월이나 공전하다 이제 완연히 물꼬가 트인 모습이다.

그 뿐만이 아니다. 무려 8년만에 사회책임투자(SRI) 펀드의 새 상품이 최근 출시됐고 대기업 지배구조 개선이 이뤄질 것으로 본 투자자들이 일찌감치 지주사 체제로 전환했거나 곧 전환할 LG, GS, 현대중공업에 베팅하면서 이들 그룹 지주사 주가가 연일 뛰고 있다. 신한금융지주는 ESG평가를 기업 여신 의사결정 및 투자 과정에 적극적으로 반영하는 제도를 연내 도입키로 했다. 이 제도가 시행되면 사회적 책임경영 여부에 따라 기업들은여신에 제한을 받거나 우대 혜택이 주어진다. 유례를 찾을 수 없을 만큼 전방위적이고 빠른 속도의 변화다.

그 변화의 영향은 상당할 것으로 전망된다. 전체 운용자산 대비 ESG 투자 비중이 유럽은 60%, 미국도 30%나 되지만 우리의 경우 1% 수준이다. 국민연금의 경우 지난 1월 기준 적립금 561조원 중 국내 사회책임투자로 쓴 돈은 6조원에 불과하다. 향후 국내 연기금 전체의 비중 확대가 가져올 변화의 파고가 심상치 않을 것임을 암시하는 대목이다.

하지만 착한 투자는 착한 기업으로 열매 맺어야 의미를 가진다. 착한 기업이 이윤 많이 남기고 높은 배당을 주는 걸 의미하지는 않는다. 기부금과 같은 뻔한 사회공헌으로 덧씌워져서도 안된다. 자사 근로자는 물론 하청기업과 소비자까지 고려한 상생의 고리에 기여하는 기업이 많아져야 한다.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