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5~30년 주기 반복 세계경제 ‘위기’…이번엔 개도국 차례, 떠오르는 3대 뇌관
[헤럴드경제=이해준 기자]짧게는 5년, 길게는 30년 주기로 반복되는 세계경제의 위기가 앞으로 신흥국이나 개도국에서 발생할 가능성이 높다는 진단이 나왔다. 2000년대 경제위기는 주로 미국이나 유럽 등 선진국에서 발생해 선진국들은 이 기간에 가계와 정부의 부채조정에 어느 정도 성공했지만, 개도국의 경우 경기를 부양하는 과정에서 부채나 자산거품이 늘어났기 때문이다.

LG경제연구원은 최근 발표한 ‘2017~2021 중기경제전망’ 보고서를 통해 이같이 진단하고 ▷개도국 외환위기 ▷중국의 부채버블 붕괴 ▷유럽의 위기재발 우려 등 3가지 위기가 향후 발생가능성이 높고 국내외 경제에 큰 영향을 미칠 변수라고 지적했다.

보고서는 “1980년대 이후 오일쇼크와 글로벌 금융위기 등 글로벌 경제위기는 약 30년에 한 번, 동아시아 외환위기, 유럽 재정위기 등 국지적 위기까지 포함하면 5년에 한번 꼴로 발생했다”며 “유럽 재정위기 이후 5년이 경과해 향후 5년 내 위기가 다시 도래할 가능성에 대비할 필요가 있다”고 지적했다. 미국의 금리인상으로 글로벌 자본이동이 빨라지고 있는 점도 이를 뒷받침한다.

보고서는 무엇보다 향후 위기 가능성이나 충격은 개도국에 집중될 가능성이 크다고 지적했다. 선진국은 위기기간 중 부채조정에 어느 정도 성공했지만, 개도국의 경우 세계교역 위축으로 내수를 부양하는 과정에서 오히려 부채나 자산거품이 늘어난 경우가 많기 때문이다. 세계경기 부진이 지속되고 미 금리가 인상되는 과정에서 취약 개도국의 경제상황이 급변할 위험성이 큰 셈이다.

보고서는 향후 우려되는 3가지 위기 가능성으로 개도국 외환위기, 중국의 부채버블 붕괴, 유로존 위기 재발 등을 꼽았다.

개도국의 경우 미국의 금리인상으로 투자자금이 선진국으로 회귀하면서 위험에 노출될 수 있다. 보고서는 높은 무역수지 적자와 과중한 단기외채 부담, 부족한 외환보유고 등으로 외환시장 체질이 취약한 개도국이 위기의 대상이 될 것이라고 분석했다.

이와 관련해 모건스탠리는 2013년 5월 버냉키 쇼크 당시 브라질, 인도네시아, 인도, 터키, 남아공 등 5개국을 ‘취약국’으로 지목했고, 작년말에는 멕시코, 인도네시아, 남아공, 터키, 콜롬비아 등 5개국을 ‘새로운 취약국’으로 꼽았다. 세계교역 확대와 원자재 가격 상승 등으로 이들의 위기 우려가 다소 줄었지만, 경기여건이 악화될 경우 리스크가 다시 부각될 수 있다고 보고서는 지적했다.

중국의 부채 버블 붕괴 리스크의 경우 발생 가능성은 개도국 외환위기에 비해서 낮지만, 일단 현실화될 경우 우리경제에 더욱 큰 충격을 줄 수 있다는 점에서 주목되는 점이다. 중국의 기업부채는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연평균 20%씩 급증해 지난해 상반기말에는 중국 국내총생산(GDP)의 168%에 달하는 것으로 발표됐지만, 실제는 이보다 훨씬 많을 것이라는 분석이 지배적이다.

여기에다 향후 미국의 지속적인 금리 인상에 따른 위안화 약세 전망으로 중국에서 자본이 대거 이탈할 경우 중국이 통화완화 정책을 지속하기 어려워질 수 있다. 시장개방으로 당국의 금융시장 통제력이 약화될 경우 위험에 빠질 수 있다는 분석이다.

유로존의 경우 당장 극우정당이 집권당이 될 가능성은 낮지만 정치적 불안 가능성은 여전하다. 중기적으로 성장활력이 계속 저하되면서 EU 통합을 반대하는 정당의 지지율이 꾸준히 높아질 경우 EU 탈퇴를 둘러싼 정치적 혼란이 계속될 수 있다.

유로존 통합이 약화될 경우 자체적으로 경제적 어려움을 타개할 가능성이 낮은 그리스 등 취약국들에 대한 지원 협상이 난항을 겪으면서 그렉시트(Grexit) 우려와 같은 금융불안이 나타날 수 있다. 유럽중앙은행(ECB)의 통화정책이 긴축기조로 전환되는 시점에서 은행권 부실이 심각한 이탈리아, 포르투갈, 아일랜드 등의 은행위기 리스크도 확대될 우려가 크다고 보고서는 지적했다.

저성장 국면에 본격 진입한 한국으로서도 이러한 세계경제 위기 가능성에 선제적으로 대응할 필요성이 높아지고 있다.

/hjlee@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