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특별기고-심교언 건국대 부동산학과 교수 ] 행복도시의 두 번째 도약
일반적으로 신도시는 특별한 자족기능이 없으면 급속히 늙어가게 된다. 그런데 우수 대학이 있으면 도시가 지속적으로 활력을 확보할 수 있다. 대학은 신도시 노화를 막는 것 뿐만 아니라 도시가 지속적으로 성장할 수 있게 하는 귀중한 기능이다.

중앙행정기관과 국책연구기관 등이 이전한 행정중심복합도시 또한 우수한 대학을 유치해 도시가 지속적으로 발전하는 선순환 구조의 구축이 필요하다.

하지만 대학 구조조정으로 인한 증원제약과 수도권 소재 대학의 지방이전 반대 등 여러 장애 요인이 상존하고 있다. 이를 극복하려면 단순히 대학을 이전하는 것이 아닌, 교육선진화를 위한 새로운 교육시스템 개발도 동시에 필요하다.

세계적으로 두각을 나타내는 대학들은 산학협력 기능을 효과적으로 수행한다. 이미 대학의 역할은 산학협력을 통한 교육과 연구 기능으로 발전해 가고 있다. 이에따라 협력적 인재 양성이 가장 중요하다.

현행 대학의 교육시스템에서는 협력적 인재양성에 집중하기가 어렵다. 그러나 정부기관과 국책연구기관이 입주해 있는 행복도시의 장점을 십분 활용한다면 새로운 선진형 교육방식의 시도가 가능해 보인다. 여러 대학이 공동으로 대학시설을 건립하고 운영함으로써, 효율적인 운영과 협력적 인재양성이 가능한 공동캠퍼스 방식이다. 공동캠퍼스는 유관 기관들이 시설을 근접한 장소에서 공유할 수 있어, 산ㆍ학ㆍ연ㆍ관의 협력을 가장 극대화할 수 있다.

공동캠퍼스 도입을 위해서는 몇 가지 유념할 점이 있다. 먼저 행복도시의 자족 기능 확충에 기여할 수 있도록 대덕 연구개발특구, 오송 생명과학단지, 오창 과학단지 등 인근 과학 산업연구기반과의 연계를 극대화할 수 있는 기능을 수행해야 한다. 교수와 기업전문가가 공동으로 강좌를 운영하는 방식의 현장 연계형 산학협력 교육을 확대하고, 창의인재를 양성하기 위한 문제중심 융복합 교육의 시도 등이 필요하다.

둘째, 대학의 교과과정이 지역사회와 유기적으로 상호작용해야 한다. 인구 고령화 현실을 감안해 학생 연령층을 다양화하고, 이들의 학습능력에 맞게 설계된 교과과정을 도입하며, 학업성취도가 뛰어난 인재들도 계속 학습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행복도시의 특성을 고려해 정부기관의 정책이나 의사결정에 도움이 될 수 있도록 각 부처의 전문분야에 관한 최신의 지식과 해당 부처의 요구에 능동적으로 대처할 수 있는 맞춤형 교과과정도 필요하다.

셋째, 한정된 행복도시의 대학용지 공간을 가장 효율적으로 활용해야 한다. 특정한 대학이 불필요하게 넓은 공간을 독립적으로 점유함으로써 발생할 수 있는 특혜 의혹을 없애고, 산ㆍ학ㆍ연ㆍ관의 협력을 가장 극대화할 수 있는 공간 배치가 필요하다. 국내 우수대학 뿐만 아니라, 독립 캠퍼스 건립이 어려운 해외 우수대학의 수용가능성도 높여 주어야 한다.

마지막으로, 대학캠퍼스 건립을 위해서는 막대한 건설비용이 필요하다. 인천송도캠퍼스 및 서울대 시흥캠퍼스의 사례에서 보듯이 대학들은 건립비용 대부분의 정부지원을 요구한다. 정부가 공동캠퍼스를 건립하고 공공부문에서 관리할 경우 기존 대학에서 도입하기 어려운 저비용 구조의 선진형 교육시스템 운영을 시도할 수 있다.

이러한 요건들이 충족된다면 행복도시는 혁신이 일어나는 공간으로 자리매김 되고, 지속가능한 발전이 가능해질 것이며, 나아가 국가혁신의 거점으로 기능할 수도 있을 것이다.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