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사설] 구제역 전국확산 조짐, 군 투입 적극 검토해 볼만
구제역 확산 조짐이 예사롭지 않다. 자칫 시간을 끌고 머뭇거리는 사이 전국적으로 번지는 게 아닌가 하는 우려마저 제기되고 있다. 실제 그럴 가능성도 꽤 높아 보인다. 지난 5일 충북 보은의 한 농장에서 구제역이 발생한지 불과 사흘만에 경기도 연천군에서 같은 증세가 확인됐다. 보은과 연천은 직선거리만 따져도 130㎞가 훨씬 넘는다. 통상 공기로 전파되는 구제역 바이러스의 확산 범위는 60㎞ 정도라고 한다. 두 농장이 서로 바이러스를 옮기거나 한 게 아니라는 의미다. 농림축산검역본부도 두 농장의 소를 검사한 결과 유전자형이 일치하지만 상호 연관성은 없다고 밝혔다. 중간에 다른 지역을 거쳐 왔을 수도 있는데 지금으로선 그 경로를 추측하기가 쉽지 않다. 구제역 바이러스가 국내에 유입된지 상당시간이 흘러 전국에 퍼졌다고 의심되는 대목이다.

공기 전파력이 강한 가축 전염병은 초기 제압이 중요하다. 고병원성 조류인플루엔자(AI) 초기 방역에 실패하는 바람에 양계산업의 근간이 흔들릴 정도의 재앙을 지금도 겪고 있다. 이런 악몽이 재연되는 일은 없어야 한다는 것이다. 물론 방역 당국도 손을 놓고 있는 건 아니다. 전국의 소 314만 마리에 대해 백신 일제 접종에 들어가는 한편, 86개 가축시장 문을 당분간 닫기로 하는 등 대처에 분주한 모습이다. 발생지역의 이동 통제도 강화하고 있다.

하지만 이런 정도로 구제역이 순순히 물러날지 의문이다. 우선 백신을 접종하더라도 항체가 형성되려면 1~2주일의 시간이 필요한데 그 사이 동시 다발적으로 발생하면 달리 손을 쓸 재간이 없다. 더욱이 백신의 효과도 의심스럽다. 당국은 95%의 항체 형성율을 보이고 있다지만 실제로는 5~20%에 불과한 것으로 드러나고 있다. 일부 농가들이 송아지 기형이나 원유(原乳) 생산 감소를 우려해 백신 접종을 꺼리기 때문이다. 말로만 접종을 권할 게 아니라 기피 농가에 불이익을 주는 등의 강제 조치가 뒤따라야 한다. 모럴해저드를 유발하는 보상제도를 개선해 농가 접종 참여를 적극 유도할 필요가 있다.

조기에 군 병력을 활용하는 방안도 고려해 볼만하다. 강력한 이동 차단은 물론 생화학 등 관련 전문 군 인력을 활용하면 방역 효과를 한결 높일 수 있다. 가축전염병 창궐은 국가 비상사태나 다름없어 명분도 충분하다. 비슷한 시기에 AI 발생했지만 일본은 자위대를 즉각 투입해 피해를 극소화시킨 얘기는 귀에 못이 박힐 정도로 들었다. 우리가 그렇게 못할 이유는 하나도 없다.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