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사설] 남획, 불법어업…최악 어획량은 바다관리 실패의 결과
국내 어업 생산량이 44년만에 최저치를 기록했다는 해양수산개발원 분석이 시사하는 바가 크다.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해 연근해 어업 생산량은 92만3000t에 그쳤다. 전년보다 12.7% 줄었으며 1972년(95만6000t) 이후 처음으로 100만t에 미치지 못했다. 가장 많은 어획고를 기록한 1986년(173만t)에 비하면 거의 절반수준이다. 그동안 어업 기술과 관련 장비가 획기적으로 개선되고 어선의 성능도 첨단화되는 등 이전과 비교할 수 없을 정도로 어업 여건이 좋아졌다. 그런데도 생산량이 되레 크게 곤두박질 한 것은 한마디로 연안 어장 관리에 실패했다는 것 말고는 달리 해석이 어렵다.

여러 요인이 있겠지만 우선 남획에 따른 수산 자원 고갈 탓이 크다. 잡아들이는 양이 물고기 번식 능력보다 더 많으니 씨가 마르는 건 당연하다. 새끼 명태인 노가리를 마구 잡는 바람에 우리 연안에서 명태가 사라진 것이 이런 이유 때문이 아닌가.

어획량 감소는 생활 쓰레기와 못 쓰게 된 어구를 함부로 버려 바다를 오염시킨 자업자득의 결과이기도 하다. 바닷속에 방치된 폐그물 등에 걸려 죽어가는 어족 자원이 전체 어획량의 10% 가량 된다니 그 상황이 얼마나 심각한지 짐작이 간다. 그렇지 않아도 기후 변화로 해수면 온도가 상승해 고기잡이가 갈수록 힘들어지고 있다. 해양 환경 보호에 대한 각별한 관심과 대책이 요구되는 대목이다.

무엇보다 우리 배타적경제수역(EEZ) 내의 중국 어선 불법 조업을 막는 게 화급하다. 보고서는 이로 인한 수산자원 손실은 10만t에서 많게는 65만t에 이르는 것으로 추정했다. 경우에 따라 우리 어획량의 3분의 2를 중국 불법 어선이 가져가고 있다는 얘기다. 어제 오늘 일은 아니나 보다 강력한 정부 차원의 대응책이 뒤따라야 할 것이다.

이제부터라도 바다와 어족자원 관리에 전방위적으로 나서야 한다. 바다 자원은 결코 무한하지 않다. 이대로 방치하면 우리 생명줄과도 같은 바다는 더 황폐화되고 말 게 뻔하다. 어린물고기 남획 방지, 과감한 휴어기 늘리기, 중국어선 단속 등의 조치는 기본이다. 아울러 병행해야 할 것은 기르는 어업의 질과 양을 대폭 개선하는 것이다. 수산물 수요는 최근 50년 새 3배가 늘어난 반면 어족 자원고갈로 생산량은 줄어들 수밖에 없는 구조다. 기존 수자원을 보호하면서 늘어나는 수요를 충족시키는 건 지금으로선 이게 최선일 듯하다. 정부 당국과 어민들의 발상의 전환이 필요한 때다.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