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비정규직 근로자, 실직하면 노동시장서 바로 ‘Out’
[헤럴드경제=하남현 기자] 경기 침체 여파로 실직 이후 실업으로 이행하는 비율이 크게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직장을 잃은 후 구직활동을 하지 않아 실업률에도 잡히지 않는 구직 포기자가 늘었다는 의미다. 상대적으로 비정규직 근로자가 실직후 노동시장에서 곧바로 이탈하는 사례가 빈번한 것으로 드러났다.

한국고용정보원과 통계청에 따르면 실직 후 실업으로 이행하는 비율은 지난 2012년 22.8%를 기록해 2000년 30.0%보다 크게 낮아졌다. 이 비율은 2004년부터 2009년까지 27%대 수준을 유지하다가 2010년에 24.2%로 낮아진 이후 추락을 거듭하고 있다.

전병유 한신대 교수는 “경제 위기로 인해 실직 후 실업으로 빠지기보다 비경제활동 상태로 빠지는 비율이 더 높아지고 있다”며 “이는 일자리를 구하기 힘들 것이라는 실망실업효과가 반영됐고 고용보험에 포괄되지 않는 계층들이 많다는 사실을 보여준다”고 설명했다.

특히 임시직이나 일용직 같은 비정규직에서 이같은 경향이 뚜렷히 나타났다. 임시직의 경우 실직 후 실업 이행 비율이 2010년 33.8%에서 지난해 20.8%로 떨어졌다. 일용직 역시 이 기간 24.6%에서 16.8%로 내려갔다. 반면 상용직 근로자의 경우 같은 기간 이 비율이 41.3%에서 38.3%로 낮아졌다. 정규직 근로자의 실직후 실업 이행 비율이 상대적으로 높고 하락폭도 낮았다. 정규직 근로자들은 직장을 나온 뒤에도 다시 구직을 시도하는 사례가 비정규직에 비해 높은 것이다.

비정규직들은 상대적으로 고용 안정성도 정규직에 비해 낮다는 점에서 비정규직의 ‘실직→노동시장 이탈’이라는 악순환이 빚어질 가능성이 높아 우려된다. 실제로 지난해 기준으로 비자발적 이직 중 비정규직 계약만료 비율은 50.5%로 2010년 34.8%보다 급증했다. 반면 정규직 해고 비율은 같은 기간 8.2%에서 9.5%로 소폭 상승에 머물렀다. 기업들이 위기에 직면해 인력조정을 할 경우 정규직을 해고하기보단 임시직의 계약만료를 활용하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airinsa@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