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한국경제 9월 대외 위기 집중
[헤럴드경제=조동석 기자]한국 경제가 9월 위기에 봉착했다. 미국의 양적완화 축소 움직임이 속도를 내고 있는데다 일본의 소비세 인상 여부, 독일 총선에 따른 정치 리스크 확대 등 글로벌 경제 3대 축이 대한민국호를 흔들 태세다. 하반기 3%대 성장률을 회복하면서 저성장의 고리를 끊는다는 목표를 세운 한국경제가 불안한 이유다.

위기의 진원지는 미국으로, 양적완화 축소 여부에 이목이 집중되고 있다. 얼마전 벤 버냉키 연방준비제도(연준ㆍFed) 의장의 출구전략 시사 발언 한마디에 글로벌 금융시장이 요동친 바 있다.

버냉키 의장이 출구전략을 언급했던 미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회의는 다음달 17~18일 열린다. 전 세계는 또다시 버냉키의 입을 쳐다보고 있다.

미국의 출구전략 시행 여부를 가늠할 지표는 실업률. 7월 실업률은 7.4%로 2008년 12월(7.3%) 이후 가장 낮다. 양적완화 축소 시기가 앞당겨질 수 있다는 분석이 나오는 것도 이 때문이다.

월스트리트저널의 조사에 따르면 지난 5월 미국의 양적완화 축소 시기를 내년 1분기라고 응답한 비율이 34%로 가장 높았으나, 이달에는 3분기라는 비율 53%로 나타났다.

여기에다 다음달 9월부터 본격적으로 시작될 미 의회의 예산안과 정부 부채한도 상향 조정 협상도 메가톤급 위력을 지니고 있다. 국제금융센터는 “타결에 이르기까지 과정이 순탄치 않을 것으로 예상되는 만큼 국제금융시장의 불안은 이어질 것”이라고 전망했다.

일본의 소비세 인상 여부도 관심이다. 내년 4월 소비세 인상을 원안(5%에서 8%)대로 실시할지에 대한 아베정부의 최종 결정이 빠르면 9월말 이뤄진다. 소비세 인상이 지연될 경우 아베정부의 재정건전화 의지 후퇴 등이 불거질 것으로 보이면서 부작용이 우려되고 있다.

유로존의 2분기 성장률이 7분기만에 플러스로 전환된 가운데 고조되는 정치 리스크가 관건으로 떠올랐다. 최근 들어 그리스와 이탈리아, 포르투갈 등 재정 불안국 중심으로 정치적 갈등이 확대되는 양상이다.

또 다음달 22일 예정된 독일 총선은 추가적인 정치불안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는 분석이 지배적이다. 여론조사 결과 현 메르켈 총리의 연정이 확실한 주도권을 쥐기에 부족한 것으로 나타나 새로운 연정 가능성이 대두되고 있다.

대외변수에 취약한 한국경제는 숨죽이고 있다. 2분기 1%대 깜짝 성장률을 보이면서 저성장 탈출에 안간힘을 쓰고 있는 가운데 이런 대외 악재가 성장의 발목을 잡을 것으로 우려되고 있다. 더욱이 민간소비와 설비투자는 여전히 부진한 수준이다. 미래의 불확실성이 한국경제를 짓누르고 있기 때문이다.

dscho@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