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가계부채 해결 단기간내 어렵다”
[헤럴드경제=최진성 기자]우리나라 가계의 부채 상환 능력이 주요국에 비해 현저히 떨어지고 있다. 가계소득은 줄어든 반면 대출은 늘어 단기간에 해결이 쉽지 않다는 분석도 나오고 있다.

4일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지난 6월 말 우리나라의 가처분소득 대비 가계부채 비율은 154.3%로 미국 110.8%, 영국 141.3%, 독일 91.4%, 일본 131.2%(2011년 말 기준)보다 높다. 이 비율이 100%를 넘으면 가계가 번 돈으로 빚 갚기도 모자란다는 의미다. 국제신용평가사인 무디스는 “한국 가계부채가 미국의 서비프라임 이전(136%)보다 높은 수준으로 단기간에 해결하기 어렵다”고 지적했다.

가계의 빚 갚을 능력이 떨어지는 것은 대출 총량이 많아졌기 때문이다. 금융위기 이후 미국과 일본의 가계부채 증가율은 매년 1~2% 내외씩 줄어들고 있는 반면 우리나라는 2009년 7.6%, 2010년 10.1%, 2011년 9.0%, 올 상반기 1.8% 등으로 늘었다.

김영일 한국개발연구원(KDI) 연구위원은 “우리나라는 외환위기 이후 은행들이 가계 부문을 영업이익의 중요한 타킷으로 삼기 시작했다”면서 “은행권에 이어 2000년대 중반부터 비은행권의 대출이 빠르게 늘었다”고 말했다. 실제로 2006년 이후 가계대출 증가율(연평균)을 보면 은행은 5.7%에 불과하지만 신협 15.8%, 새마을금고 19.1%, 상호금융 13.2% 등으로 급증했다.

소득이 줄어든 것도 가계부채를 악화시키고 있다. 국내총생산(GDP)에서 가처분소득이 차지하는 비중은 우리나라가 54.2%로 가장 낮은 반면, 미국 76.3%, 영국 66.6%, 일본 61.3% 등으로 높다. 경제가 성장해도 가계로 돌아가는 소득이 적기 때문에 가처분소득 대비 가계부채 비율이 높게 나타난다는 얘기다.

문제는 저성장 기조가 장기화된다는 데 있다. 금감원 관계자는 “GDP 증가율이 낮아진다는 것은 성장의 혜택을 배분할 파이가 작아진다는 뜻”이라면서 “가계의 소득 창출 능력이 떨어지고 있다”고 지적했다. 아울러 우리나라의 가계부채가 부동산 가격 등락에 취약하다는 점도 위험 요인으로 지목된다.

김영일 연구위원은 “가계부채 총량보다 상환 능력이 없는 가구가 얼마나 많은 부채를 안고 있는지 봐야 한다”면서 “우리나라 가계는 주요국에 비해 금융자산도 적어 벌어들인 돈으로 빚을 갚았을 때 어려움을 겪는 사람이 많다”고 말했다.

ipen@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