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사설> 남극 장보고 기지의 실용적 운용을
남극 제2기지인 ‘장보고 과학기지’ 건설 사업이 본궤도에 올랐다. 1988년 제1호인 세종 과학기지를 건설한 지 24년 만의 일이다. 무탈하게 공사가 진행되면 2년 뒤 우리나라는 한반도의 62배, 중국의 1.4배 크기인 거대한 미지의 대륙에 두 개의 태극 깃발을 펄럭이게 된다. 남극에 두 개 이상 기지를 보유한 국가로는 미국 영국 러시아 등에 이어 9번째다.

현재 남극은 20개국이 39개 상주기지를 건설, 국력 과시의 장이 되고 있다. 왜 진작 2호, 3호 건설을 하지 못했느냐는 아쉬움이 크다. 1호 세종 기지 이후 몇 번 정권이 바뀌고 나서야 남극의 본격적인 탐사가 가능해진 것이다. 국가지도자들이 미래를 내다보는 안목과 식견만 갖추면 얼마든지 정책적인 뒷받침과 재정적인 지원을 할 수 있었다. 수천억에서 수조 단위의 예산이 허비되는 불필요한 SOC 사업만 잘 정리해도 족하다. 일본 등 경쟁국들은 그간 추가 기지 건설은 물론 탐사기술 검증과 개발 등 뚜렷한 연구성과물까지 내고 있다고 한다. 국가 미래 투자는 정권과 상관없이 담대하게 이뤄져야 한다.

지난 연말 현재 극지연구 투자비는 총 3700억원으로 기대성과가 6500억원 규모에 이른다. 향후 10년간 이것이 약 2조원대에 육박한다면 투자가치는 넘치는 게 아닌가. 국가 위상 제고와 국제기구 영향력 확대 등 무형적 효과를 제외한 결과다. 남극 극지탐사는 미래 자산가치가 무궁무진하다. 우주과학에 버금가는 거대 프로젝트라고 해도 손색없다. 법적으로 40년 후면 남극 영유권 문제가 현실화하고 자원개발은 노다지가 될 수 있다. 가볍게 볼 일이 아니다. 지난 2009년 우리 기술로 처음 건조된 6950t급 쇄빙선 ‘아라온’ 호가 탐사활동은 물론 러시아 어선 구조 등 제몫을 다한다는 소식도 흐뭇하다.

기존 세종 기지는 남극 최북단 주변부에 위치, 심도 있는 해양 탐사에 물리적으로 제한적이었던 반면 장보고 기지는 남극대륙 면적의 단 2%에 불과한 육지 위에 세워져 세종 기지의 한계를 극복할 수 있다. 대신 혹한과 눈보라가 계속되는 극한지역이어서 기지 건설부터 상시 연구활동에 극한고통이 수반된다고 한다. 건설 사업은 물론 상시 연구활동에 불편부족이 없도록 꼼꼼히 살피고 기업과의 연계를 통해 실용적 기지로 만들기 바란다.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