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당대표 40억·최고위원 10억 ‘커트라인’ 공공연한 관행
전국 지역구만 200여곳

300만원씩 전달해도 6억원


全大인력동원·지역별 유세

포함땐 금액 몇십배로 껑충

자금압박에 경선 중도포기도


지역 당원協 ‘사당’ 화 병폐

중앙정치 개혁 우선과제로

‘당 대표는 40억원, 최고위원 커트라인은 10억원’

고승덕 의원의 폭로로 정치자금 구태가 다시 불거지면서, 그 규모에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각 후보들이 선관위에 신고하는 선거비용은 통상 1억원에서 3억원 정도다. 가장 마지막으로 열렸던 지난해 7월 전당대회 당시 한나라당 대표 출마자에게 허용된 비용 상한선도 기탁금 1억2000만원, 기타 비용 2억5000만원이었다.

그러나 후보와 함께 전국을 누비는 수십~수백명의 도우미들, 또 각 지역 유세 때마다 버스를 대절해 나타나는 수백~수천명의 열성 지지자들을 보면, 경선 때마다 수십억원의 돈이 필요함을 어렵지 않게 엿볼 수 있다.

9일 정치권에 따르면 2008년 고 의원이 검찰에서 300만원의 돈봉투를 제공했다고 주장한 박희태 당시 당 대표 경선 후보는 선관위에 선거자금으로 1억860만원을 사용했다고 신고했다. 이는 공식 선거유인물 제작과 선거용 차량 리스, 일부 유급 봉사자의 인건비로 지출됐다.

하지만 이는 말 그대로 공식적인 선거 비용일 뿐이라는 게 정치권의 분석이다. 실제 사용한 비용 중, 당규와 선관위 규정에 맞는 것만 역으로 짜 맞춰 신고했다는 것이다.

당 대표나 최고위원 경선 과정에서 돈이 쓰이는 곳은 따로 있다. 바로 선거법에서는 허용하지 않는 인력동원이다. 여권의 한 관계자는 “전대 때 당협위원장에게 봉투를 주는 일은 관행이다. 지방에서 버스 태워 올려 보내는데 차비와 식비는 건네야 하지 않겠느냐. 비공식적으로 어느 당이나 다 마찬가지다”고 강조했다. 각 도별로 열리는 선거 유세전, 그리고 최종 투표를 위해 서울로 집결하는데 필요한 비용을 지원한다는 명목으로 후보와 시도당협 사이에 돈이 오가는 관행이다. 

박 의장이 고 의원에게 준 300만원 역시 친이계였던 고 의원에 대한 직접적인 표 구걸이 아닌, 자신을 지지해 줄 당원 동원에 대한 일종의 수고비였다는 게 정치권의 분석이다. 이를 전국 200여개 당협위원회로로 환산할 경우 최소 6억원이 나온다. 여기에 후보가 직접 챙겨야 하는 행사동원 인력 인건비, 그들이 먹고 자고 쓰는 비용까지 감안하면 10억원은 가볍게 넘어선다는 계산이다. 또 표 관리를 위해 당협별로 1명씩을 지정, 배치할 경우, 이들의 활동비까지 더해지면 그 규모는 기하급수적으로 늘 수밖에 없다.

또 다른 한나라당 관계자는 “1등, 즉 대표가 되기 위해서는 이런 식으로 관리해야 하는 지구당(당협) 숫자가 더욱 많고, 또 그 규모도 커질 수밖에 없다”며 “10억원을 기준으로 해서 40억원까지도 썼다는 소리가 매번 경선 때마다 나온다”고 전했다. 매번 경선 때마다 상당수의 중도탈락자가 나오는 것 역시, 결국 돈이 큰 이유라는 설명이다.

이와 관련 정몽준 전 대표가 전날 재창당을 요구하며 “현재는 당원협의회가 위원장을 위한 사당화돼 있다는 것이 정확한 표현”이라면서 “이러한 ‘사당’ 구조를 뜯어고치지 않고 중앙정치 개혁을 말하는 것은 사상누각”이라고 강조한 것도 이런 음성적 비용의 현실을 단적으로 보여준다. 

과거 한나라당 대표 경선을 완주했던 한 의원은 “경선에 나서는 비용 마련을 위해서는 출판기념회 등으로 마련해 둔 돈 외에도 집을 담보로하거나 지역구 은행에서 신용대출을 받곤 했다”며 “대표나 최고위원이 되고 못 되는 것 못지않게 이 돈을 정산하는 것도 만만치 않은 일”이라고 전했다.

<최정호 기자@blankpress> choijh@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