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금반지 뺀 소비자물가 믿어도 될까
정부가 새로 조정한 소비자물가지수를 적용한 결과 10월까지의 물가상승률이 예상했던 4.4%에서 4.0%로 낮아졌다. 이로써 올해 소비자물가는 한국은행의 관리 목표치(3±1%) 내에서 마무리될 공산이 커졌다. 사회 경제적 환경 변화에 따라 바뀌는 소비행태를 물가지수에 반영하는 것은 당연하다. 이번에 수요가 늘어난 등산복, 스마트폰 이용료 등을 새로 넣고 쓰임새가 떨어진 전자사전, 공중전화통화료 등과 금값을 뺀 것이 그런 경우다. 그러나 물가 조사대상품목 조정 뒷맛이 개운치 않다. 인위적으로 물가지수를 끌어내리려 한 흔적이 역력하기 때문이다.
최근 가격이 폭등한 금반지를 대상에서 제외한 것부터 그렇다. 금을 자산으로 분류하는 국제 기준에 따랐다지만 그 기준은 20년 전에 마련됐다. 지금까지 가만 있다 올해 굳이 적용하는 이유가 납득하기 어려운 것이다. 금값이 워낙 올라 소비가 크게 위축됐다는 설명도 시장과 온도 차가 크다. 관련업계는 가격 부담 때문에 3.75g 1돈짜리 판매가 줄어든 것은 사실이나 1g으로 줄인 대체품은 수요가 꾸준하다고 한다. 공교롭게도 금반지를 제외하자 물가지수는 무려 0.25%포인트 낮아졌다니 그 의도를 의심치 않을 수 없다.
국제 금값 폭등으로 물가지수를 끌어내리는 금반지가 정부로선 미운 오리처럼 보였을 것이다. 그러나 금반지의 상징적 의미는 크다. 웬만한 가정에는 금가락지 몇 개쯤은 다 있고, 이를 든든한 밑천으로 여기는 게 우리 정서다. 돌반지를 나누는 전통이 여전히 살아 있다. 이런 까닭에 금반지는 물가지수 작성을 시작한 1948년 이후 한 번도 빠진 적이 없다. 수요가 줄었다면 가중치를 내리면 된다.
통계의 생명은 신뢰다. 숫자를 적당히 주물러 목표에 도달한다면 국민을 기만하는 행위다. 이런 식으로 숫자를 꿰맞추면 체감물가와 지표물가의 괴리감이 커져 정부 불신만 깊어질 뿐이다. 실업률 통계에서도 체감실업률과 정부 발표의 큰 차이로 현실을 반영하지 못한다는 지적이 끊이지 않는다. 정부가 발표한 9월 잠재실업률이 한국개발연구원(KDI) 조사와 4배의 차이가 나는 것이 대표적 예다. 특히 물가통계는 노사 간 임금협상, 각종 연금지급률 조정, 시중금리 등 국민 생활과 밀접히 연결돼 있다. 더하지도 빼지도 말고 있는 그대로 보여줘야 왜곡 없는 해법이 나온다.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