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두돌 맞는 도시형생활주택 공급ㆍ입주물량 러시…실속은 ‘글쎄’

지난해 11월 서울 강동구에서 분양한 A도시형생활주택(전용 14~18㎡)은 반년이 지나도록 여전히 잔여물량을 팔고 있다. 

추가로 발코니 무료확장 혜택을 제공, 가구당 사실상 150만~200만원 가량을 인하해주고 있지만 전체 267실 중 10%이상 주인을 찾지 못하고 있다. 

청약신청에서 총 1619명이 접수해 평균 6대 1, 최고 17대 1의 폭발적 경쟁률을 기록한 초기 분위기와는 ‘딴판’인 셈이다. 인천 남구 역세권에 들어서는 B도시형생활주택도 지난해 말 분양을 개시했지만 30%가량이 미계약분으로 남아있다.

부동산시장 최대 ‘인기상품’으로 꼽히고 있는 도시형생활주택. 그러나 쏠린 수요자 및 투자자의 관심만큼 분양실적이 받쳐주지 못하는 사업장이 속출하면서 시장성에 의문이 제기되고 있다. 업계에서는 서울ㆍ경기 외곽지역에서 공급된 상당수 사업장이 미분양 상태인 것으로 파악하고 있다.

대형건설사 한 관계자는 “십수대 1의 높은 청약경쟁률을 기록했지만, 정작 수 개월에 걸쳐 잔여분양하는 일이 다반사”라며 “용산, 대학가 등 임대수요가 높은 몇몇 사업장이 성공을 거두자 전체 분양시장이 호조인 것처럼 보이는 착시현상이 나타난 셈”이라고 말했다.

이에 지난해 소형주택시장 진출을 적극 모색했던 대형건설사들도 슬그머니 발을 빼는 모양새다. GS건설은 공급타이밍을 잡지 못하고 있으며 대우건설, 롯데건설 등은 부지조차 확보하지 못한 상태다. 

소형주택 전문브랜드 ‘쁘띠 린’을 론칭한 우미건설은 서울 상도동 일대에서 공급예정이었던 140가구짜리 도시형생활주택사업을 백지화했다. 우미건설 관계자는 “3만 3057㎡(구 1만평)은 돼야 수익성 확보 및 외관ㆍ유니트 구성 특화 등을 시도할 수 있지만 높은 토지비 등으로 역세권 부지확보가 쉽지 않다”며 “올해는 사실상 신규공급이 어려울 것”이라고 말했다.
 

현재 주류를 이루고 있는 도시형생활주택 규모는 연면적 기준 9900~1만 6500㎡(구 3000~5000평) 안팎이다.

특히 도입 두돌을 맞아 올 하반기부터 준공이 본격화될 것으로 예상되면서 ‘대량 미입주’ 사태에 대한 우려의 목소리도 나오고 있다. 서울시는 올해 입주물량을 7000가구로 추정하고 있으며, 오는 2012년에는 1만5000가구로 확대될 것으로 보고있다.

전문가들은 매입 희망자는 시장분위기에 편승하기 보다 입지여건, 수익률 등을 철저히 따져야 한다고 강조한다. 여전히 도시형생활주택은 ‘미검증’ 상품이라는 것이다. 

김규정 부동산114 본부장은 “청약을 신청 했지만, 따지고보니 수익률에서 기존 임대상품과 별차이가 없거나, 공실없이 임차인 유지ㆍ관리가 쉽지 않아 계약을 포기하는 사례가 많다”며 “상품 가치평가가 끝나기 전에 묻지마식으로 수요자가 몰렸던 측면이 있고 청약통장이 필요없어 경쟁률 등이 과대포장 될 수 있는 만큼 계약희망자의 각별한 자체검증이 요구된다”고 강조했다.

<김민현 기자@kies00>
kies@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