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흡연해도 건강? “건강한 흡연자 4명중 1명 폐기종 보유”
흡연을 하지만 자신의 폐는 아직 건강하다고 자신하는 사람들에게 경종이 울렸다. 건강한 흡연자들 4명중 1명은 폐기종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난 것. 이는 비흡연자에 비해 10배 이상 폐기종 발생 확률이 높은 것이다.

폐기종은 폐포(허파꽈리)와 이곳에 공기가 통하게 하는 작은세기관지가 늘어나 탄력이 없어진 고무풍선처럼 늘어져 제 기능을 못하게 된 상태를 말한다. 이렇게 되면 결국 폐기능이 저하되어 산소와 이산화탄소를 원활하게 바꾸어주지 못해 기침, 가래, 호흡곤란이 생긴다.

가톨릭대학교 서울성모병원 김영균(호흡기내과)ㆍ심윤수(건강증진의학과) 교수팀은 2008년 10월부터 2009년 6월까지 평생건강증진센터에서 폐기능검사와 저선량흉부CT를 시행한 274명을 추적 조사했다.

그 결과 정상폐기능을 가진 건강한 흡연자(191명)의 25.6%(49명)에서 폐기종이 발견됐다. 이는 비흡연자(83명)의 2.4%(2명)에서 폐기종이 발견된 것 보다 발생 비율이 약 10배 이상 높은 것이다.

연구팀은 흡연과 폐기종에 따른 폐기능의 변화를 확인하기 위해 흡연군(131명)과 금연군(60명, 6개월 이상 금연)의 폐기종 유무로 나눠 2년간 FEV1/FVC(1초간 강제호기량/강제폐활량 비율), FEF 25~75%(강제호기유량)을 비교했다.

그 결과 폐기종 있건 없건 흡연군의 경우 FEV1/FVC, FEF 모두 감소해 폐기종과 흡연 모두 폐기능을 감소시키는 것을 확인했다.

반면 폐기종이 없는 금연군의 FEV1/FVC와 FEF 25~75%는 첫 측정결과와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또한 FEF 25~75%의 1년간 감소율을 예측한 결과 폐기종이 있는 흡연군은 4.4%, 폐기종이 있는 금연군은 4.2%로, 폐기종이 없는 흡연군은 1.1%로 나타났다.

즉, 폐기종이 있는 흡연자는 금연한 후에도 폐기종이 없는 흡연자의 비해 폐기능의 악화가 진행된 것이다.

또한 비흡연자에 비해 흡연자의 혈액내 호산구 분획률과 백혈구수, 고감도 C 반응성 단백질이 증가되어 있어 전신적인 만성 염증상태를 보였다.

호흡기내과 김영균 교수는 “이번 연구는 건강한 흡연자를 대상으로 한 연구로 흡연과 폐기종의 발생빈도, 폐기종에 따른 폐기능 감소를 확인한 연구결과다.”고 밝혔다.

특히 김 교수는 “한번 파괴된 폐는 다시 건강해질 수 없다. 폐기능 악화 예방을 위해서는 무엇보다 금연이 매우 중요하며, 폐기종이 있는 흡연자의 경우 지속적인 관찰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이번 연구는 대한결핵 및 호흡기학회에서 발간하는 학회지에 지난 2010년 9월에 게재됐다.

<김재현 기자 @madpen100> madpen@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