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1190억원 몸값 F-35A 비상착륙 ‘버드 스트라이크’ 때문?
한미 공동조사 과정서 ‘조류 충돌’ 확인
직접 연관성은 미확인…정밀조사 앞둬
공군은 지난 4일 F-35A 스텔스 전투기의 기체이상 비상착륙과 관련 ‘조류 충돌’(Bird Strike) 현상이 있었다고 14일 밝혔다. 다만 공군은 정밀조사가 필요하다며 조류 충돌을 비상착륙의 직접적인 원인으로 단정하진 않았다. 자료사진. [헤럴드DB]

[헤럴드경제=신대원 기자] 지난 4일 공군 F-35A 스텔스 전투기의 기체이상 비상착륙 원인으로 ‘버드 스트라이크’(Bird Strike) 가능성이 거론된다.

공군은 14일 “지난 4일 F-35A 동체착륙과 관련 한국과 미국이 공동으로 조사하는 과정에서 좌측 흡입구 쪽에 ‘조류 충돌’(Bird Strike)이 있었던 것으로 확인됐다”고 밝혔다.

항공기 이착륙과 비행 중 새가 항공기 엔진이나 동체에 부딪혀 발생하는 버드 스트라이크는 경우에 따라 대형 사고를 야기하기도 한다.

다만 공군은 사고 원인을 단정짓지는 않았다.

이와 관련 공군은 “조류 충돌이 F-35A 항공전자계통 및 랜딩기어 미작동과 어떤 연관성이 있는 지에 대해서는 내달 초 미 측 전문조사단이 입국 후 한미 공동으로 정밀조사를 진행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공군은 정밀조사 결과가 나오기 전임에도 불구하고 버드 스트라이크를 언급한 배경에 대해서는 전 세계 F-35A 운용 국가에 비행안전을 위한 참고사항으로 조류 충돌이 있었음이 확인됐다고 공지할 필요가 있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이에 따라 공군은 F-35A 운용국가에 공유할 수 있도록 미 측에도 통보했다.

앞서 공군 F-35A 1대는 지난 4일 훈련 비행 중 항공전자계통 이상으로 랜딩기어가 내려오지 않아 충남 서산 모 기지 활주로에 미끄러지듯이 동체를 대는 동체착륙 방식으로 비상착륙했다.

전투기에 타고 있던 조종사는 무사했다.

미국 록히드마틴사가 개발 생산한 F-35A가 세계 각국에 판매된 이후 동체착륙은 이번이 처음인 것으로 알려졌다.

공군은 2018년 3월 1호기를 시작으로 현재까지 40여대 가량의 F-35A를 도입해 운용중이다.

스텔스 기능과 전자전 능력 등 통합항전시스템을 갖춘 최첨단 전투기 F-35A는 최대 속도 마하 1.6, 전투행동반경 1093㎞로 1대당 가격은 1190억원에 달한다.

공군은 작년 10월 경기 성남 서울공항에서 열린 ‘서울 국제항공우주 및 방위산업 전시회(서울 ADEX 2021)’를 계기로 F-35A 1호기를 일반 국민에 첫 공개한 바 있다.

shindw@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