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씨네;리뷰] 클리셰 깬 첩보물…‘공작’의 자신감
이미지중앙
[헤럴드경제 스타&컬처팀=남우정 기자] 첩보물 하면 떠오르는 공식이 있다. 쫓고 쫓기는 추격전에 액션은 기본이다. 하지만 ‘공작’은 이런 공식을 깨부순다. 그리고 말과 눈빛만으로도 충분히 긴장감 넘치는 이야기가 가능하다는 것을 증명해낸다. 한마디로 ‘자신감’이다.

‘공작’은 1990년대 중반 최초로 북한의 핵개발 실체를 파악하기 위해 북측으로 잠입한 안기부 첩보요원 흑금성 박석영(황정민)과 그를 둘러싼 남북 권력층 간의 첩보전을 그린 작품이다. 박석영은 실제도 당시 흑금성이라는 암호명으로 불렸던 실존 인물을 모델로 했다.

‘공작’이 가장 먼저 깬 클리셰는 흔히 남북 소재 영화에 등장한 스파이의 존재다. 그동안 남북 관계를 다룬 영화에선 남침한 북한 스파이가 종종 등장했다. 그들을 악인으로 그리거나 우정을 쌓는 과정을 보여줬었다. 하지만 윤종빈 감독은 그 방향을 바꿨다. 남한에서 북한으로 스파이를 보냈다. 박석영은 자신의 신분을 감추고 북한 고위층을 속인다.

영화는 초반엔 박석영이 북 고위간부들의 신뢰를 얻어 임무를 완수해 가는 과정을 그려가는데 박석영과 북한 실세인 리명운(이성민), 박석영을 끊임없이 의심하는 북한 국가안전보위부 과장 정무택(주지훈)의 심리 묘사가 탁월하다. 관객들은 그 시선을 따라가면서 조마조마한 감정을 느낀다. 총성 하나 울리지 않지만 스릴이 넘쳐흐른다.

이미지중앙

중후반을 넘어가면서 그 긴장감에 뜨거운 감정까지 끌어낸다. 정치적으로 북한을 이용하는 남한 정치인들의 모습은 낯설지 않다. 그리고 북한 핵 개발의 중심지인 영변의 모습이 보여진다. 그 과정에서 국가를 위해서 일을 해왔던 박석영의 신념이 흔들린다.

‘공작’은 1990년대 실제 남북 사이에서 벌어졌던 첩보전의 실체를 다룬다. 실화가 주는 흡입력이 상당하다. 후반부 사건의 중심이 되는 김대중 전 대통령이 당선됐던 15대 대선과 박석영과 리명운의 프로젝트인 남북 합동 CF는 이효리와 북한의 무용수 조명애의 역사적 만남을 기억하는 이들에겐 더 감정적으로 다가온다.

쉽지 않은 구강 첩보물을 완성한 데에는 배우들의 연기가 한 몫을 했다. 사업가로 신분을 속인 스파이 역의 황정민은 자연스러운 사투리와 극의 내레이션을 담당하며 극의 중심을 세운다. 강인한 신념을 갖춘 북한의 리명운은 이성민과 만나 더 인간적인 매력을 발휘한다. 이성민의 또 다른 얼굴을 ‘공작’에서 발견할 수 있다. 마지막 엔딩, 말 한마디 없이 눈빛만으로 대화를 나누는 두 사람의 얼굴이 잊혀지지 않을 정도로 뭉클하다.

윤종빈 감독은 남과 북이 무엇을 위해 싸우고 있는지 질문을 던지고 싶다고 했다. 개인과 국가 사이에서 흔들리는 영화 속 인물들을 보며 관객들도 스스로에게 묻고 또 묻게 된다. 오는 8일 개봉.

culture@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
          연재 기사